1. 평균 법
평균 법은 기초 재공품도 당기에 투입한 것으로 가정하여 기초 재공품 원가와 당기 투입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가중 평균하여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에 적절히 나누는 방법이다. 배분 대상 원가인 기초 재공품 원가와 당기 투입원가의 합계액을 그 배분대상 원가에 대응하는 완성품 환산량으로 나누어 완성품 환산량 단위원가를 산출하고 단위당 원가에 기말 재공품 환산량을 곱하여 기말 재공품 원가를 평가한다. T 계정의 모양에서 검토하면 차변의 기초 재공품과 투입원가의 합을 대변의 완성량과 기말 재공품 환산량의 합으로 나누어 평가 단가를 구한다. 이 평균단가를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라 하고 기말 재공품 환산량에 곱하면 기말 재공품 평가액이 된다. 기초 재공품은 당기 투입원가와 같이 기초에 투입한 것으로 보므로 완성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은 전기에 투입된 기초 재공품이 먼저 완성품이 되고 당기에 투입한 원가와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이 된다는 원가 흐름을 가정하므로 배분대상 원가는 당기 투입원가가 되고, 완성품 환산량은 당기 투입원가에 대응하는 것을 구하여야 한다. T 계정의 모양에서 검토하면 완성 수량은 기초 재공품과 당기 투입원가 일부로 구성되고 기말 재공품은 당기 투입원가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를 구하려면 차변의 당기 투입원가를 이에 대응하는 완성품 환산량으로 나누어야 한다. 당기 투입원가에 대응하는 완성품 환산량은 당기 완성 수량에서 기초 재공품 환산량을 차감하고 기말 재공품 환산량을 가산하여야 한다.
3. 후입 선출법
후입 선출법은 당기에 투입된 원가가 먼저 완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방법으로 원가 흐름의 가정이 비현실적이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당기 투입원가가 먼저 완성되므로 기말 재공품은 당기 투입원가 일부와 기초 재공품으로 구성되거나, 기초 재공품 일부만으로 구성된다.
기초 재공품 환산량보다 기말 재공품 환산량이 큰 경우
기초 재공품 환산량보다 기말 재공품 환산량이 큰 경우의 배분 대상 원가는 당기 투입원가 일부와 기초 재공품으로 구성된다.
기말 재공품 환산량보다 기초 재공품 환산량이 큰 경우
기말 재공품 환산량보다 기초 재공품 환산량이 많으면 나중에 투입한 당기 투입원가가 먼저 완성품이 되고 먼저 투입한 기초 재공품 원가는 일부는 완성품으로 나머지는 기말 재공품 원가가 된다. 즉 기말 재공품의 배분 대상 원가는 기초 재공품 원가로만 구성된다.
평균 법과 선입선출법의 비교
평균 법과 선입선출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비교를 할 수 있다. 선입선출법이 이론적으로는 우수하지만 투입요소의 가격이나 생산과정이 안정적인 경우, 평균 법과 별 차이가 없어 실무적으로 평균 법을 더 많이 사용한다.
공손품이란 품질표준에 미달해서 품질검사에서 불합격한 불량품을 말한다.
공손품은 폐기되거나 정상 가격 이하로 폐기되므로 공손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원가는 대부분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게 되어 공손품은 일반적인 재고자산으로 평가할 수 없다.
정상 공손
피할 수 없이 발생하는 공손, 제조원가 일부로 처리한다.
기말 재공품이 검사 통과하지 않았을 때: 완성품에만 배분
기말 재공품이 검사 통과한 경우: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에 배분
비정상 공손
피할 수 있는 공손, 제조원가에 포함하지 않고 영업 외 비용으로 처리
감손이란
제조과정에서 액체, 가스, 분말과 같이 낱개로 나눌 수 없는 생산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증발이나 소실 등으로 인한 원재료 감손분을 말한다.
수율: 원재료의 투입량에 대한 제품 산출량의 비율 수율=산출량/투입량
감손율: 원재료의 투입량에 대한 감손량의 비율 감손율 = 감손량/투입량
결합 원가계산
결합 원가계산은 원재료 같은 제조공정에 투입되어 동시에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제품들이 생산될 때 이 제품들은 연산품 또는 결합제품이라고 부른다. 결합제품은 일반적으로 원재료를 주로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초산업 분야에서 많이 생산된다. 예를 들어 정유 산업에서는 원유를 가공하여 LPG, 휘발유,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 등을 생산한다. 도축업에서는 소 한 마리를 잡아서 고기, 뼈, 가죽, 내장 등을 얻고, 고기도 안심, 등심, 갈비, 사태고기 등 가치가 다른 여러 부위별 고기를 얻는다.
결합제품의 분류
결합제품이란 같은 원재료로부터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동시에 생산되는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제품으로 이들 제품은 일정한 생산단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개별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특정 단계 이후에야 비로소 걔 별 제품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들 결합제품은 크게 연산품과 부산물로 나뉜다.
연산품
연산품이란 결합제품 중 상대적으로 판매 가치가 비교적 큰 제품을 말한다.
부산물
부산물이란 연산품 제조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으로서 연산품과 마찬가지로 분리점 이전까지는 개별적인 제품으로 식별할 수 없지만 연산품과 비교하면 판매 가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유업에서의 아스팔트)
작업 폐물
작업 폐물이란 투입된 원재료로부터 발행하는 찌꺼기나 조각을 말하며 부산물보다 판매 가치가 더 작다. 폐기하는 과정에서 판매 가치보다 많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여 음의 가치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핵발전소에서의 핵폐기물)
분리점
분리 점이란 연산품과 부산물 등 결합제품을 개별적인 제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제조과정 중의 한 점을 말한다.
결합 원가
결합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분리 점까지 발생한 모든 제조원가를 말한다. 공통 직접 재료의 원가와 분리 점까지의 직접 노무 원가와 제조 간접원가가 결합 원가이다.
재무보고 목적으로 재고자산평가와 매출원가의 측정을 위하여 결합제품에 배분되어야 한다.
개별 원가 또는 분리 가능 원가
개별 원가란 분리 점에서 개별 제품으로 분리한 후 최종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원가를 말한다.
추가 가공원가라고도 한다.
연산품 원가계산에는 물량 기준법, 분리점 판매 가치 법, 순실 현가치 법, 균등 이익률 법 등이 있다.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원가분석 의사결정과 관련된 기본개념 (0) | 2020.08.15 |
---|---|
원가형태와 원가추정이란 (0) | 2020.08.12 |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이란 (0) | 2020.08.09 |
원가배분 (0) | 2020.08.06 |
노무비 (0) | 2020.08.06 |